이제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본성과 역할을 재정의해야 할 때입니다.

2304. 인권보호잡지
(2023년 3월 24일)

그는 수술 후 잘 회복되었습니다.

하루에 10,000보 이상을 걷습니다.

저 보라색 빛이 너무 좋아서 사진 찍어서 공유합니다.

보통 제비꽃은 단단한 콘크리트의 틈이나 돌담 사이에서 아름답게 자라는 꽃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오랫동안 좋은 빛의 길을 걷지 못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카바레가 문을 닫았기 때문이다.

제비는 갈 곳이 없어서 길을 가고 있었습니다.

음식. 느린. 제비꽃의 이름은 꽃의 모양이 아름다워 마치 물을 제비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합니다.

봄꽃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어느 하나 똑같은 생명력이 가득합니다.

저마다 고유한 씨앗을 발아시키고, 얼어붙은 땅을 뚫고 건너왔습니다.

종종 우리는 통념과 상식이 얼어붙은 곳에서 살고 있습니다.

통념과 상식은 견고하고 완강하다.

우리는 일상에서 소통하는 말을 보면 안다.

나는 거기에서 내 자신의 생명력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굳어진 상식과 통념의 터전 위에서 봄기운처럼 건너가야 합니다.

“건널지”라는 단어는 매우 황량한 땅으로 깊숙이 들어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게 그들이 건넌 곳에 새로운 세계가 만들어졌다.

꽃의 생명력처럼 질문 하나면 충분하다.

어느 쪽이든, 당신은 그것을 뜯어내고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주말 농사일도 마찬가지다.

땅은 얼어야 합니다.

쟁기질하면 그때부터 땅은 봄 기운을 얻는다.

그래 가거라 오늘 나눈 시처럼 나는 길을 건너고 있다.

산길에서 / 리청푸(1942-2012)
나는 누가 길을 열었는지 안다
나를 이렇게 걷게 하는 사람들
바람이 대나무를 흩날리나요?
이름 모를 꽃이 수줍게 다가와
심장이 빨리 뛰는 이유를 알겠어
그래서 짐승처럼 그들의 옛 향기를 맡고 싶다.

나는 집에서 계속 도망
서울을 떠날 때마다 설레지 않나요?
무언가에 쫓기는 듯 살아가는 사람들도
반사광의 발걸음마저
모든 것이 압축되어 사라진다
뒤늦게 배웠다
쓸데없는 반복도
헛되이 쌓여 또 쌓여 마침내 길을 열었네
길을 따라 그들과 함께 오르다
아무리 힘들어도
내가 왜 지금 앉아 있으면 안 되는지 알아
AI(인공지능) 혁명이 전 세계를 휩쓸고 있다.

2023년 3월에 눈을 떴을 때 주요 기술 회사에서 역사적인 새로운 발표가 있었습니다.

ChatGPT와 같은 “생성 인공 지능” 기술을 사용하는 서비스가 곧 출시될 예정입니다.

인간과 AI는 대화하고, 작업 지시를 내리고, 이전에 인간이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지 않은 기능을 찾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인간이 생산을 위한 도구를 사용하고 기계를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었다면 생성 인공지능은 인간의 인지를 넘어서는 영역을 제시하는 수준에 도달한 것이다.

스마트폰 Z의 저자이자 크로스아이엠씨 대표 컨설턴트 박준영의 주장을 들어보자.
인간과 AI의 협업 시대에 인간만이 이룰 수 있는 고유한 영역은 무엇입니까? 누가 회사의 핵심 인재가 될 것인가? 인간에게 필요한 능력은? 이제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본성과 역할을 재정의해야 할 때입니다.

역사적으로 기술 혁명은 인류에게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을 열어주었습니다.

즉, 일에 갇히고 실직에 대한 두려움이 아니라 인간 고유의 영역에서 근본적으로 어떤 역량이 중요한지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이제 3가지 기능이 더 필요합니다.

첫째, 문제를 정의할 수 있어야 합니다.

불확실성과 복잡성이 높은 상황에서 문제가 있는 곳을 파악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며 문제 해결을 위한 프로그램을 세부적으로 설계하는 고급 기능이 필요합니다.

예측할 수 없는 문제나 새로운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인간의 영역입니다.

나는 이것이 “한 머리를 가진 문해력”(Song Shuxi)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생각입니다.

둘째, 협업이 필요합니다.

문제 해결 과정 외에도 문제에 대한 인식은 사람마다, 사람마다, 팀마다 다를 수 있으며 작업에 틈과 틈이 나타납니다.

공유된 목표에 대해 소통하고, 갈등을 해결하고, 다른 구성원과 협력하고, 팀워크를 강화하는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가치 있는 시기입니다.

자동화 기술과 생성적 인공 지능이 모든 것을 대체하지는 못할 것입니다.

즉, 인간적인 감성, 따뜻함, 친밀감, 대인관계 구축에 대한 자각, 상대방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배려하는 소통능력은 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동체와 사회에서 필요한 자양분이다.

모두.
셋째,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고 적용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높은 생산성과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AI가 파트너가 되어야 하는 시대에 접어들었습니다.

AI가 능력의 120%를 발휘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지시를 내리는 일을 ‘힌트 엔지니어'(지침을 쓰는 전문가)라고 한다.

이 사람들은 AI 시스템이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생성하도록 돕고 AI에 입력되는 텍스트 프롬프트를 만들고 개선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그들에게는 코딩 기술보다 컨텍스트를 이해하는 능력이 더 중요합니다.

힌트는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전달되는 메시지입니다.

아나운서나 연극 배우가 할 말을 잊지 않도록 대본과 함께 나오는 “텔레프롬프터”를 상상할 수 있습니다.

생성적 AI 서비스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질문이나 지시의 수준에 따라 매우 다른 결과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술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생성 인공 지능을 사용하는 원리를 잘 이해하고 있는 개인이 새로운 수준의 생산성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현장에 대한 깊은 전문성과 경험이 있어야만 AI의 결과를 판단하고 업무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인간은 문화, 교육, 경험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과 도덕기준을 형성하고, 그 기준에 따라 판단하고 행동한다.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또한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의 문을 열어줍니다.

예를 들어 다음 질문입니다.

인간은 노동에서 해방될 것인가? 아니면 도구가 인간을 통제할 것인가? 그것은 지금 우리가 내리는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질문하는 방법, 어떤 질문이 “좋은 질문”인지 아는 방법을 갖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우리 모두의 “기본”이 될 것입니다.

네, 다시 한 번 눈에 띄는 것은 “문해력”입니다.

송숙희 작가는 ‘문해력’을 향상시켜야 할 신호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 한 페이지짜리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은 10페이지짜리 파워포인트를 작성하는 것보다 어렵습니다.

  • 급하고 중요한 일인데 무엇을 먼저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 신고할 때마다 머리가 멍해지고 ‘별 거 아닌 파티’를 한다.

  • 정확한 답변을 얻기 위해 질문하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 간신히 보고서 내용을 채웠지만 제목은 구하기 어려웠다.

  • 읽을 책이 많고 시간이 없어서 대신 YouTube나 요약을 사용합니다.

  • 전화보다는 문자가 좋습니다.

  • 어떤 업무 관련 데이터를 찾아야 하는지 알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송수희 작가님도 말씀하셨지만 인공지능이 우리를 대신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컴퓨터가 처음 보편화되었을 때 컴퓨터는 인간을 대체하지 못했습니다.

컴퓨터를 다루는 방법을 아는 사람들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대체합니다.

인공지능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인공지능을 잘 다루는 사람들은 압도적인 생산성을 발휘할 것이고, 그러면 그들은 즉각적인 경쟁 우위를 갖게 될 것입니다.

보고서와 회의록은 AI가 작성해야 합니다.

GPT 30초 채팅으로 대학입시를 위한 자기소개서를 작성해보세요. 인공지능을 생성하라고 지시하면 칼럼도 블로그도 책도 결과를 낳는다.

실제로 인공지능이 쓴 책이 출간돼 화제가 되고 있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것은 AI가 제 역할을 잘 하는지를 볼 수 있는 “메타” 능력을 갖는 것입니다.

이것은 우리가 주문할 가치가 있는 제품을 생산하고 원하는 결과를 생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책임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요청(주문)하지 않는 한 AI는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인공 지능을 팔다리로 사용하면서 쉽고 편안하며 가치 있게 작업할 수 있는 능력은 사람이 본질적인 존재에 달려 있습니다.

일, 공부,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주로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합니다.

첨단 디지털화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일상에 도입될 것이며, 우리는 전례 없는 문제에 더욱 갇힐 것입니다.

문제 해결 능력이 없으면 직장과 일상 생활이 어려워집니다.

당신의 생각처럼 저자 Song Shuxi는 지식이 구동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문제 해결 능력이 읽기-생각-쓰기로 구성되어 있다고 믿습니다.

(생각) 정리하고 공유(작성)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이처럼 문제 해결은 읽기의 힘으로 시작해서 쓰기의 힘으로 끝난다.

시대가 변해도, 아니 시대의 변화에 ​​따라 변화에 적응하고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은 우리가 가져야 할 자질입니다.

이 “문해력”을 키우면 자연스럽게 “일하는 마음”이 따라옵니다.

여기서 말하는 ‘공투’는 일을 하는 방식, 노하우, 비법 등을 가리킨다.

보통 우리는 ‘가지다’, ‘없다’를 써서 표현한다.

다음 주부터 이 문제에 대한 제 생각을 공유할 계획입니다.

내 블로그의 다른 게시물 https://pakhanpyo. 또는 https://pakhanpyo.blogspot.com 최근에는 우리동네 대학 홈페이지에도 블로그를 올렸습니다.

https://www.wmcss.net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