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가 활황입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코스피지수가 3000포인트를 돌파하자 모두가 주식시장으로 몰려들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익을 얻지 못했습니다.
대신 일반적으로 손실이 발생합니다.
왜?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들은 주가가 오를 때 사고, 떨어질 때 판다.
즉 남이 사면 내가 사고, 남이 팔면 내가 파는 것이다.
이런 유형의 거래로는 절대 돈을 벌 수 없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떤 주식을 사야 할까요?
많은 사람들이 어떤 주식을 사야할지 고민합니다.
먼저 비즈니스 모델을 고려하십시오.
비즈니스 모델은 회사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 제안입니다.
예를 들어 Amazon.com은 온라인 서점을 위한 새로운 시장을 창출했습니다.
기존 오프라인 서점과 달리 재고 비용 없이 판매가를 낮춰 저렴한 가격으로 책을 제공함으로써 경쟁사와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한다.
둘째, 이익 마진을 살펴봐야 합니다.
비즈니스 모델이 아무리 좋아도 이윤율이 낮으면 지속가능하지 않다.
셋째, 관리를 살펴봐야 합니다.
회사의 CEO나 임원이 얼마나 신뢰할 수 있고 윤리적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넷째, 진입 장벽을 고려해야 합니다.
해당 기업이 업계에서 독과점인지, 아니면 신규 진입자로서 새로운 시장에 진출하려는 기업이 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가치를 평가하라.
현재 주가가 저평가되었는지 고평가되었는지 판단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위험 요인을 검토해야 합니다.
재무제표의 부채비율이 지나치게 높지 않은지, 현금흐름표상 영업활동으로 창출된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구매시기?
좋은 주식을 골랐다면 지금이 매수 적기
우선 차트를 보고 주가가 상승추세인지 하락추세인지 파악하고 추세 반전 지점을 찾아야 합니다.
주가가 오르면 하락세에 사는 것이 좋고, 하락세라면 랠리에 매도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손절매를 유지해야 합니다.
언제 팔아야 할까요?
매도 시점도 중요하다.
매도 시점을 결정하려면 먼저 목표 수익률을 설정해야 합니다.
목표 수익률을 설정했으면 다음 단계는 손절매 규칙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주가가 10% 하락하면 무조건 매수했다가 매도하는 식으로 특정 수치만 설정하면 된다.
또한 매도와 매수를 분할하는 방식으로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장기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면 분할 방식을 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 번에 많은 양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큰 하락을 만났을 때 심리적으로 흔들리기 쉽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