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 치료제를 알아볼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화상치료제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할게요!

화상은 불, 뜨거운 액체, 물류, 화학 물질 등 열에 의해서 피부에 생긴 손상을 말한다.

화상이 발생하면 우선 응급 처치와 흐르는 냉수 등으로 국소 부위를 냉각해야 한다.

그 후의 대처 법은 화상의 정도로 다르다.

화상은 국소 손상의 깊이에 따라서 1번, 2번, 3도 화상으로 구분된다.

·1도 화상은 표피층만 손상된 경우이다.

국소 부위의 통증, 발적, 부종 등이 발생하여 3~5일 정도 지나면 낫는다.

·2도 화상은 표 피하에 진피층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이다.

보통 물집이 생기고 피하 조직의 부종을 동반한다.

물집이 발생한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물집을 임의로 제거하지 않는 게 좋다.

흉터가 남을 수도 있다.

치료에는 약 3~4주 정도 걸린다.

·3도 화상은 피하 조직까지 손상된 경우 세균 감염, 조직 괴사가 심한 상처를 남긴다.

피부의 탄력성과 신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진피층이 파괴되어 더 이상 재상 가죽화(손상된 피부에 다시 상피 조직을 한다)이 일어나기 힘들기도 하고 피부 수축이 나타나고 상처 치유에 아주 오래 걸릴 수도 있다.

고온으로 순간적으로 접촉한 경우만 아니라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 햇빛(햇빛)에 장시간 노출되어 피부가 빨갛게 변하고 뜨거운 되는 경우도 약한 불에 해당한다.

이처럼 화상 부위가 붉어지고 물집이 생기는 등 정도의 약한 1도 화상과 경증 2도 화상의 경우는 일반 의약품을 사용하고 가정에서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정도가 심한 2도 화상이나 3도 화상의 경우 반드시 의료 기관을 방문하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지식 목록 수정 문구의 공유 인쇄 약학 용어 사전

화상 치료제 화상 치료제는 열에 의해서 피부에 생긴 손상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화상의 정도에 의해서 쓰이는 약물의 종류가 바뀐다.

1번 가벼운 화상에는 습윤 드레싱과 비감염성 화상 연고를 사용하고 2도 이상의 화상에는 2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 살균 소독제 또는 항생제를 사용한다.

3번 이상 중증 화상에는 피부 이식을 실시한다.

외국어 표기 antipyrotic(영어)화상 치제(한자)화상은 불, 뜨거운 액체, 물류, 화학 물질 등 열에 의해서 피부에 생긴 손상을 말한다.

화상이 발생하면 우선 응급 처치와 흐르는 냉수 등으로 국소 부위를 냉각해야 한다.

그 후의 대처 법은 화상의 정도로 다르다.

화상은 국소 손상의 깊이에 따라서 1번, 2번, 3도 화상으로 구분된다.

·1도 화상은 표피층만 손상된 경우이다.

국소 부위의 통증, 발적, 부종 등이 발생하여 3~5일 정도 지나면 낫는다.

·2도 화상은 표 피하에 진피층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이다.

보통 물집이 생기고 피하 조직의 부종을 동반한다.

물집이 발생한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물집을 임의로 제거하지 않는 게 좋다.

흉터가 남을 수도 있다.

치료에는 약 3~4주 정도 걸린다.

·3도 화상은 피하 조직까지 손상된 경우 세균 감염, 조직 괴사가 심한 상처를 남긴다.

피부의 탄력성과 신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진피층이 파괴되어 더 이상 재상 가죽화(손상된 피부에 다시 상피 조직을 한다)이 일어나기 힘들기도 하고 피부 수축이 나타나고 상처 치유에 아주 오래 걸릴 수도 있다.

고온으로 순간적으로 접촉한 경우만 아니라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 햇빛(햇빛)에 장시간 노출되어 피부가 빨갛게 변하고 뜨거운 되는 경우도 약한 불에 해당한다.

이처럼 화상 부위가 붉어지고 물집이 생기는 등 정도의 약한 1도 화상과 경증 2도 화상의 경우는 일반 의약품을 사용하고 가정에서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정도가 심한 2도 화상이나 3도 화상의 경우 반드시 의료 기관을 방문하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그림. 피부의 구조의 약리 작용 화상 치료제는 열에 의해서 피부에 생긴 손상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화상의 정도에 의해서 쓰이는 약물의 종류가 바뀐다.

1번 가벼운 화상에는 진정, 항염증, 피부 재생, 보습 작용이 있는 일반 의약품인 화상 연고가 사용할 수 있다.

또 화상은 열에 의해서 피부가 탈수된 상태여서 습윤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습윤 드레싱을 사용할 수 있다.

2번의 물집이 생긴 화상에는 2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 항생제를 사용한다.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서 진통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손상을 받은 조직에서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등의 염증 매개 물질이 방출되고 통증이 유발되고 면역 기능이 저하되고 감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3번 이상 중증 화상의 경우 피부 방어막의 소실과 면역 기능의 약화에서 세균의 침입이 쉽게 한다.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 국소 항생제를 사용하는 대신 괴사 조직의 가피*를 걷어낸 후 동종 피부 이식 †을 시행하고 이후 자기 피부 이식 ‡를 시행한다.

*가피:상처의 표면에 조직액, 혈액, 고름 등이 말라서 굳어진 것이다.

표피가 손상되면 상처로부터 혈액과 조직액이 나오고, 껍질을 형성하고 상처를 보호한다.

그 아래에 새로운 표피가 생기고, 가죽은 자연스럽게 떨어진다.

† 동종 피부 이식:사람의 피부 각질 세포를 배양하고 손상된 피부에 이식하기자기 피부 이식:환자 자신의 피부 조직을 뜯어내고 세포를 분리 배양한 후 손상된 피부에 이식하기종류 화상 치료제는 크게 습윤 드레싱, 비감염성 화상 치료제, 감염성이나 하지만 치료제, 피부 이식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습윤 드레싱의 상처를 촉촉하게 유지하고 치유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본적인 드레싱에서 백색 와셀린이 도포된 거즈를 덮어 둔다.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국소 마취제 리도카인이 포함된 드레싱제 또는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서 살균제인 아크리놀, 클로르헥시딘 등이 복합된 드레싱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습윤 밴드로 폼과 수성 콜로이드 제품은 상처의 습윤 환경을 유지하면서 과도한 삼출물*를 흡수하고 건강한 조직까지 짓누르지 않도록 한다.

폼 제품은 흡수력이 강해지고 점액이 많은 화상 또는 상처에 사용하고 의약 외품으로 메디 터치 밴드, 의료 기기로 메디 폼 등이 있다.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은 점액이 적은 가벼운 화상이나 상처, 화상 치유 단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의약 외품으로 테가솟프, 의료 기기로 듀오 댐 등의 제품이 있다.

*삼출물(exudate):염증이 생겼을 때 혈관에서 혈액 및 세포 성분이 밖으로 나오는 것, 진물이라고도 한다.

비감염성 화상 치료제 자외선에 의한 햇빛 화상 등의 1도 화상과 경증의 2도 화상에 염증을 잠재우고 보습과 피부 재생을 돕는 역할을 한다.

대부분 의사의 처방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일반 의약품이다.

그아야쥬렝는 소염, 진통, 진정 효과도 있으며 베ー타시토코레스테로ー루은 항염증 작용과 보습 작용이 있다.

트롤 아민은 보습 작용이 있고 면역 세포를 자극하고 세균 감염을 억제한다.

덱 스팸 테너는 피부에서 전환되고 손상된 피부 조직을 재생시키는 성분을 합성하도록 돕는 보조 효소 A의 성분이다.

그을린 일광 화상의 보조 치료제로 사용된다.

감염성 화상 치료제 살균 소독제는 포비동요오ー도 등이 주로 쓰인다.

액제 연고 등에서 사용되며 그램 양성균과 진균(곰팡이)에 대해서 항균 작용이 있다.

일반 의약품인 외용 항생제는 1~2번의 감염성 화상으로 감염 방지 목적으로 사용된다.

전문 의약품인 술파 디아 진 은행은 슬화제의 구조를 가진 항생제로 2~3번의 중증 화상 치료에 쓰인다.

일반의 상처 치유 연고보다 화상 부위에 침투력이 좋아 광범위하게 세균과 진균에 대한 살균 작용을 나타낸다.

피부 이식제 중증 화상 환자에서 상처 감염에 의한 패혈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동종 피부 이식제를 사용한다.

가 가죽을 제거한 후 이식술을 시행하면 통상 3주 후에 육아 조직*를 만들어 스스로 떨어지게 된다.

그 부위에 자기 피부 이식제로 이식술을 하면 피부에 접목하게 되면서 상처를 영구적으로 덮게 된다.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상처가 아물과정에서 볼 수 있는 섬유 아세포와 모세 혈관으로 구성된 선홍색의 조직 기타 섬유 아세포*성장 인자인 호랑이 후에루밍는 콜라겐을 생성하는 섬유 아세포 증식 및 새로운 혈관 생성을 돕고 조직 재생을 촉진한다.

파인애플 단백질 가수 분해 효소 추출물은 가피 제거에 사용된다.

건강 백과 ICT시사 상식 2023지식 목록 수정 문구의 공유 인쇄 약학 용어 사전 화상 치료제 화상 치료제는 열에 의해서 피부에 생긴 손상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화상의 정도에 의해서 쓰이는 약물의 종류가 바뀐다.

1번 가벼운 화상에는 습윤 드레싱과 비감염성 화상 연고를 사용하고 2도 이상의 화상에는 2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 살균 소독제 또는 항생제를 사용한다.

3번 이상 중증 화상에는 피부 이식을 실시한다.

외국어 표기 antipyrotic(영어)화상 치제(한자)화상은 불, 뜨거운 액체, 물류, 화학 물질 등 열에 의해서 피부에 생긴 손상을 말한다.

화상이 발생하면 우선 응급 처치와 흐르는 냉수 등으로 국소 부위를 냉각해야 한다.

그 후의 대처 법은 화상의 정도로 다르다.

화상은 국소 손상의 깊이에 따라서 1번, 2번, 3도 화상으로 구분된다.

·1도 화상은 표피층만 손상된 경우이다.

국소 부위의 통증, 발적, 부종 등이 발생하여 3~5일 정도 지나면 낫는다.

·2도 화상은 표 피하에 진피층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이다.

보통 물집이 생기고 피하 조직의 부종을 동반한다.

물집이 발생한 경우 감염의 위험성이 높아지므로, 물집을 임의로 제거하지 않는 게 좋다.

흉터가 남을 수도 있다.

치료에는 약 3~4주 정도 걸린다.

·3도 화상은 피하 조직까지 손상된 경우 세균 감염, 조직 괴사가 심한 상처를 남긴다.

피부의 탄력성과 신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진피층이 파괴되어 더 이상 재상 가죽화(손상된 피부에 다시 상피 조직을 한다)이 일어나기 힘들기도 하고 피부 수축이 나타나고 상처 치유에 아주 오래 걸릴 수도 있다.

고온으로 순간적으로 접촉한 경우만 아니라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 햇빛(햇빛)에 장시간 노출되어 피부가 빨갛게 변하고 뜨거운 되는 경우도 약한 불에 해당한다.

이처럼 화상 부위가 붉어지고 물집이 생기는 등 정도의 약한 1도 화상과 경증 2도 화상의 경우는 일반 의약품을 사용하고 가정에서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정도가 심한 2도 화상이나 3도 화상의 경우 반드시 의료 기관을 방문하고 치료를 받아야 한다.

그림.피부의 구조의 약리 작용 화상 치료제는 열에 의해서 피부에 생긴 손상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화상의 정도에 의해서 쓰이는 약물의 종류가 바뀐다.

1번 가벼운 화상에는 진정, 항염증, 피부 재생, 보습 작용이 있는 일반 의약품인 화상 연고가 사용할 수 있다.

또 화상은 열에 의해서 피부가 탈수된 상태여서 습윤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습윤 드레싱을 사용할 수 있다.

2번의 물집이 생긴 화상에는 2차 감염을 막기 위해서 항생제를 사용한다.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서 진통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손상을 받은 조직에서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등의 염증 매개 물질이 방출되고 통증이 유발되고 면역 기능이 저하되고 감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3번 이상 중증 화상의 경우 피부 방어막의 소실과 면역 기능의 약화에서 세균의 침입이 쉽게 한다.

감염의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 국소 항생제를 사용하는 대신 괴사 조직의 가피*를 걷어낸 후 동종 피부 이식 †을 시행하고 이후 자기 피부 이식 ‡를 시행한다.

*가피:상처의 표면에 조직액, 혈액, 고름 등이 말라서 굳어진 것이다.

표피가 손상되면 상처로부터 혈액과 조직액이 나오고, 껍질을 형성하고 상처를 보호한다.

그 아래에 새로운 표피가 생기고, 가죽은 자연스럽게 떨어진다.

† 동종 피부 이식:사람의 피부 각질 세포를 배양하고 손상된 피부에 이식하기자기 피부 이식:환자 자신의 피부 조직을 뜯어내고 세포를 분리 배양한 후 손상된 피부에 이식하기종류 화상 치료제는 크게 습윤 드레싱, 비감염성 화상 치료제, 감염성이나 하지만 치료제, 피부 이식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습윤 드레싱의 상처를 촉촉하게 유지하고 치유를 촉진하는데 도움이 된다.

기본적인 드레싱에서 백색 와셀린이 도포된 거즈를 덮어 둔다.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국소 마취제 리도카인이 포함된 드레싱제 또는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서 살균제인 아크리놀, 클로르헥시딘 등이 복합된 드레싱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습윤 밴드로 폼과 수성 콜로이드 제품은 상처의 습윤 환경을 유지하면서 과도한 삼출물*를 흡수하고 건강한 조직까지 짓누르지 않도록 한다.

폼 제품은 흡수력이 강해지고 점액이 많은 화상 또는 상처에 사용하고 의약 외품으로 메디 터치 밴드, 의료 기기로 메디 폼 등이 있다.

하이드로 콜로이드 제품은 점액이 적은 가벼운 화상이나 상처, 화상 치유 단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의약 외품으로 테가솟프, 의료 기기로 듀오 댐 등의 제품이 있다.

*삼출물(exudate):염증이 생겼을 때 혈관에서 혈액 및 세포 성분이 밖으로 나오는 것, 진물이라고도 한다.

건강백과 ICT 시사상식 2023 지식목록 수정문 공유인쇄약학용어사전 화상치료제 영상치료제는 열로 인해 피부에 생긴 손상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화상의 정도에 따라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가 달라진다.

1도 가벼운 화상에는 습윤 드레싱과 비감염성 화상 연고를 사용하고, 2도 이상 화상에는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살균소독제 또는 항생제를 사용한다.

3도 이상의 중증 화상에는 피부 이식을 실시한다.

외국어 표기 antipyrotic(영어) 화상치제(한자) 화상은 불, 뜨거운 액체나 물건, 화학물질 등 열에 의해 피부에 생긴 손상을 말한다.

화상이 발생하면 우선 응급처치로 흐르는 찬물 등으로 국소 부위를 냉각해야 한다.

그 후의 대처법은 화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다.

화상은 국소 손상의 깊이에 따라 1도, 2도, 3도 화상으로 구분된다.

• 1도 화상은 표피층만 손상되었을 경우이다.

국소 부위 통증, 발적, 부종 등이 일어나 3~5일 정도면 낫는다.

• 2도 화상은 표피하에 있는 진피층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이다.

보통 물집이 생기고 피하조직의 부종을 동반한다.

물집이 발생할 경우 감염 위험이 높아지므로 물집을 임의로 제거하지 않는 것이 좋다.

흉터가 남을 수 있다.

치료에는 약 34주가 걸린다.

• 3도 화상은 피하조직까지 손상된 경우로 세균감염, 조직괴사가 심해 흉터를 남긴다.

피부 탄력성과 신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진피층이 파괴되어 더 이상 재상피화(손상된 피부에 다시 상피조직이 생긴다)가 일어나기 어려워지고 피부 수축이 나타나 상처 치유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고온에 순간적으로 접촉한 경우뿐만 아니라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 햇빛(햇살)에 장시간 노출돼 피부가 붉게 변하고 뜨거워지는 경우도 약한 화상에 해당한다.

이처럼 화상 부위가 붉어지고 물집이 생기는 등 정도가 약한 1도 화상이나 경증 2도 화상의 경우 일반의약품을 사용해 가정에서도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정도가 심한 2도 화상이나 3도 화상일 경우 반드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

그림 피부 구조 약리작용 화상치료제는 열로 인해 피부에 생긴 손상을 치료하는 약물이다.

화상의 정도에 따라 사용되는 약물의 종류가 달라진다.

1도 가벼운 화상에는 진정, 항염증, 피부재생, 보습작용이 있는 일반의약품인 화상연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은 열에 의해 피부가 탈수된 상태이므로 습윤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습윤 드레싱을 사용할 수 있다.

2도 물집이 생긴 화상에는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항생제를 사용한다.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하기도 한다.

손상된 조직에서 프로스타글란딘, 히스타민 등 염증 매개물질이 방출돼 통증이 유발되고 면역기능이 떨어져 감염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3도 이상 중증 화상의 경우 피부 방어막 소실과 면역 기능 약화로 세균 침입이 쉽게 이뤄진다.

감염 위험을 낮추기 위해 국소 항생제를 사용하는 대신 괴사조직의 가피*를 떼어낸 후 동종피부이식†를 시행하고 이후 자가피부이식을 시행한다.

* 가피: 상처 표면에 조직액, 혈액, 고름 등이 말라 굳어진 것이다.

표피가 손상되면 상처에서 혈액과 조직액이 나와 껍질을 형성해 상처를 보호한다.

그 밑에 새로운 표피가 생기고 껍질은 저절로 떨어진다.

† 동종피부이식 : 사람의 피부각질세포를 배양하여 손상된 피부에 이식할 것 자가피부이식 : 환자 자신의 피부조직을 제거하여 세포를 분리 배양한 후 손상된 피부에 이식할 것 종류영상치료제는 크게 습윤드레싱, 비감염성 화상치료제, 감염성 화상치료제, 피부이식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습윤드레싱 상처를 촉촉하게 유지하고 치유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기본 드레싱으로 흰색 바셀린이 도포된 거즈를 덮어둔다.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국소 마취제인 리도카인이 함유된 드레싱제 또는 세균 감염을 막기 위해 살균제인 아크릴놀, 클로르헥시딘 등이 복합된 드레싱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습윤밴드로서 폼과 하이드로콜로이드 제품은 상처의 습윤 환경을 유지하면서 과도한 삼출물*을 흡수해 건강한 조직까지 짓누르지 않도록 한다.

폼 제품은 흡수력이 강해져 점액이 많은 화상 또는 상처에 사용하며 의약외품으로 메디터치밴드, 의료기기로 메디폼 등이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 제품은 점액이 적은 가벼운 화상이나 상처, 화상 치유 단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의약외품으로 테가섭, 의료기기로 듀오댐 등의 제품이 있다.

* 삼출물(exudate): 염증이 생겼을 때 혈관에서 액체 및 세포 성분이 밖으로 나오는 것, 진물이라고도 한다.